게임 코드를 수정하다가 느낀 인터럽트 가능성
유전 알고리즘을 이용한 테트리스 게임을 개발중이였다.
게임속도 증가 버튼을 누르면 속도가 증가하다가 최대점에 됐을 때,
블록을 두는 과정을 생략하는 Skip 모드가 있다.
이 Skip 모드가 켜지면 필드에 적절한 위치로 블록을 바로 그려넣는데,
문제는 현재 블록에 목표 블록을 초기화할 때 발생할 뻔 했다.
수정 전 코드에서 Skip 모드인지 아닌지에 대한 조건을 계속 검사해주는 것이 싫어서,
조건문 없이 Skip 모드이면 값을 업뎃해주고 하려고 했으나 중간에 섬짓한 느낌이 들어서
다시 수정해버렸다.
이게 최선인지 고민해봐야겠다. @_@
게임속도 증가 버튼을 누르면 속도가 증가하다가 최대점에 됐을 때,
블록을 두는 과정을 생략하는 Skip 모드가 있다.
이 Skip 모드가 켜지면 필드에 적절한 위치로 블록을 바로 그려넣는데,
문제는 현재 블록에 목표 블록을 초기화할 때 발생할 뻔 했다.
* 수정 전 코드
* 수정 중 코드
(문제 발생 가능한 상황 :
count !=0 인 상태에서 oSkip == true로 코드에 진입시,
사용자가 다시 oSkip == false 한경우)
(문제 발생 가능한 상황 :
count !=0 인 상태에서 oSkip == true로 코드에 진입시,
사용자가 다시 oSkip == false 한경우)
* 수정 후 코드
수정 전 코드에서 Skip 모드인지 아닌지에 대한 조건을 계속 검사해주는 것이 싫어서,
조건문 없이 Skip 모드이면 값을 업뎃해주고 하려고 했으나 중간에 섬짓한 느낌이 들어서
다시 수정해버렸다.
이게 최선인지 고민해봐야겠다. @_@
댓글
댓글 쓰기